본문 바로가기
아름다운 내면

질리는 화법 ㅠㅠ

by 얜나 2024. 2. 10.

대화를 하다보면 상대가 무슨 얘기를 하는지 모르겠고 말이 안 통한다고 느껴질 때가 있죠. 

그때는 다음과 같은 상황이 아닌지 확인해보고 저희도 같은 실수를 하지 않도록 해요.

 

1. 의견없이 떠보기

자신의 의견은 없이, 상대의 의견만 떠보는 케이스의 분들이 계시죠. 

한두 번은 괜찮지만, 의견만 묻는다면 이분은 어떤 감정일지 답답함이 느껴지죠.

다음과 같은 예시를 보며 비교해 볼까요?

 

데이트하는 상황에서

1) 상대 : 오늘은 뭐 하고 싶어? 

2) 나 : 영화도 좋고, 산책도 좋아. 어때?

1) 상대 : 그러면 너가 하고 싶은거 하자! 그럼 그전에 카페 먼저 갈까? 아니면 영화나 산책부터 할까?

2) 나 : ...

 

1) 나 : 오늘 날씨가 좋은데 산책하는 건 어때? 오늘 하고 싶은 거 있어?

2) 상대 : 오! 산책 좋다 그러면 한강갈까?

1) 나 : 한강 좋지! 그러면 준비하고 가면 ㅇㅇ시 일테니 점심 먹고 산책하면 되겠다~

2) 상대 : ~~~

 

어떤가요? 대화의 연결성 차이가 느껴지시나요? 

상대와 의견이 다를 수도 있지만, 서로 맞춰가며 대화의 연결이 될 수 있겠죠!

물론 내 의견만 말한다면 안 되겠지만

중간중간 자신의 의견을 덧붙인다면 대화가 매끄러워질 수 있겠죠 ㅎㅎㅎ

 

2. 논점에 벗어나 물고 늘어지기

가끔 중요하지 않은 단어나 주제를 가지고 물고 늘어지는 사람들이 있죠.

이게 그렇게 중요하나? 하고 싶은 말이 뭘까 대화가 이어지지 않네 ㅠㅠ 라고 느껴지게 만들기도 하죠.

 

- 카페에서 대화 중 1시간 전에 끝난 얘기를 상황과 엉뚱하게 다시 꺼내며 논쟁하려는 경우

- 다르다/틀리다, 가르치다/가르키다 등 잘못 적용하였을 때 한 번 지적하고 끝내는 것이 아니라 계속 예시를 들며 설명하는 경우

- 예를 들어 제주도 여행 계획을 같이 준비하고 있는데, 자신의 예전 경험담을 말하기만 하는 경우

 

위의 예시들을 들었을 때 어떠신가요. 얘기의 진행이 어렵게 느껴지시지 않으신가요?

이럴 때는 나도 휘말려서 주제에서 벗어나지 말고 스스로 주제를 잊지 않고 다시 되돌리려는 노력이 필요해요!

핵심을 파악하고 얘기를 이어가는 것도 센스겠죠^^

 

3.  두루뭉실 미괄식

'한국어는 끝까지 들어봐야 해' 라는 말이 있지만, 때로는 빙빙 도는 느낌을 받아 답답한 경우가 있죠.

직설적으로 말하면 상처받을까봐 / 확신이나 자신감이 부족하여 확답을 줄 수 없어서

이렇게 말하는 경우가 있는데, 매너와는 다른 방식이죠 ㅠㅠ

 

팀 프로젝트

1) 나 : 다음주까지 자료 조사해서 줄 수 있어? 

2) 상대 : 내가 이번 주말에 고향에 다녀와야해서...ㅠㅠ

1) 나 : 그러면 언제까지 가능해?

2) 상대 : 우선 해보는 데까지는 해볼텐데..

1) 나 : 시간이 더 필요한거야?

2) 상대 : 아니야 그래도 다음주까지 하면 될 거 같아.

1) 나 : ...

 

답변을 받는 것에 많은 시간이 필요하고 다음에 같이 하고 싶다는 생각이 조금은 사라지지 않았나요?

이럴 때는 '긍정 후 제한', '부정 후 다음 기약'하는 방식으로 말하는 것은 어떨까요? 

 

팀 프로젝트(긍정 후 제한)

1) 나 : 다음주까지 자료 조사해서 줄 수 있어? 

2) 상대 : 오늘부터 시간 내서 틈틈히 해볼게! 그런데 내가 이번 주말에 고향에 다녀와야해서 일요일 저녁에 상황 말해줄게!

1) 나 : 응응 하다가 안될거 같으면 말해줘 기간을 조정하거나 다른 방법 찾아보게 ㅎㅎㅎ 고향 조심히 다녀와~ 

2) 상대 : 응! 최대한 해보고 기간 내에 못 할 거 같으면 미리 말해줄게

 

팀 프로젝트(부정 후 다음을 기약)

1) 나 : 다음주까지 자료 조사해서 줄 수 있어? 

2) 상대 : 내가 이번 주말에 고향에 다녀와야해서. 내가 PPT와 발표를 하면 안될까? ㅠㅠ 다음에는 내가 자료조사할게 

1) 나 : 응응 그러면 내가 자료조사할게 ㅎㅎㅎ

2) 상대 : 고마워. 자료조사 받으면 최대한 준비해볼게~

 

오늘은 답답한 대화 방식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심리학에서 '상호성의 법칙'이라는 용어가 있어요.

상호성의 법칙(The Law of Reciprocity) : 호의를 받았을 때 그에 합당한 호의를 되돌려 주어야 한다는 생각

위의 세가지를 주의하며,

상대를 먼저 생각하고 언제나 호의를 가지고 표현한다면 저희도 호의를 돌려 받을 수 있겠죠 ㅎㅎㅎ

'아름다운 내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티나는 특징  (2) 2024.02.14
멘탈甲이 되는 방법!  (2) 2024.02.13
문자와 통화로 호감을 얻는 방법!  (0) 2024.02.12
존중받는 바디랭귀지  (0) 2024.02.11
어디서나 인기쟁이가 되는 방법!  (0) 2024.02.09